그리스도인과 사순절

사순절(Lent)은 부활주일 전 40일 동안의 기간을 기억하면서 회개와 절제, 금식과 자기 비움 등의 경건한 훈련을 가지며 예수님의 고난과 부활의 의미를 되새기는 절기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개신교 내에서 사순절을 지키며 강조하는 교단이 있는 반면에(예장 통합, 감리교, 기장, 성공회, PCUSA 등) 사순절을 굳이 지키지 않고 그냥 보내는 교단도 있다는(예장 합동, 합신, 고신, PCA 등) 사실입니다. 우리 교회가 속해 있는 미주한인예수교장로회(KAPC)는 후자에 속하는 교단입니다. 

찬성하는 입장에서는 사순절이 초대교회부터 지켜온 교회의 전통 속에 있다고 믿기 때문이며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물론 초대교회 때 시행된 기록이 있지만 성경을 근거로 하는 전통은 아니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초대교회 전통은 어디까지나 세례를 준비하는 이들에게 금식을 강조하는 분위기 속에 있었던 것이지 전 교회를 향한 보편적인 전통으로는 보지 않기 때문에 계속해서 지키는 것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 것입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보면 325년 니케아공의회 이후 사순절은 공식적으로 부활절을 준비하는 40일간의 절기로 정해져 지켜져 오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중세로 가면서 가톨릭의 지나친 형식주의와 외면적인 경건을 강조하는 율법주의로 나아가게 되다 보니 본래의 취지 보다는 미신적인 요소가 더 많이 가미되면서 타락하게 되었습니다. 사순절을 시작하기 전 사육제(Carnival)를 지키며 흥청망청 즐긴 후에 사순절에 들어가는 시대의 풍습을 생각해 보십시오. 그래서 칼빈과 쯔빙글리 같은 종교개혁가들은 가차 없이 이에 대해 비판하며 사순절을 준수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은혜가 아니라 인간의 행위에 초점을 맞추는 비성경적인 행위라고 금지하였던 것입니다. 그러면 사순절을 대하는 그리스도인들은 이러한 사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복음주의적인 시각을 가진 많은 그리스도인들 사이에 이에 대한 찬반 입장이 여전히 공존한다는 사실 앞에 우리의 마음을 조금 겸허히 낮출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 전통을 지키는 것이 개인의 신앙적인 자유의 문제라고 봅니다. 사순절이 강제되거나 강요될 것은 절대로 아니며 신자들이 개인의 영적인 유익이 있음을 기억하며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면 그것을 금지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청년 시절과 30대 때는 사순절을 스스로 지키며 자발적인 금식을 하면서 영적인 유익을 얻었던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의무적으로 40일 동안 금식을 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겐 사순절을 지키거나 하지 않을 자유가 각자에게 있습니다. 다만 중요한 점은 중세 때의 타락을 반복하지 않도록 이러한 순종이 자신의 공로를 쌓거나 율법적인 의무감 때문에 이루어지는 행위주의로 가서는 안된다는 점입니다. 사순절 기간에 주님의 십자가의 공로와 고난을 묵상하는 자기 절제의 시간이 왜 나쁘겠습니까? 다만 우리는 찬반에 이르게 된 역사적, 신학적인 고찰이 있었음을 기억하며 자신의 마음의 중심을 잘 돌아보며 형식주의에 빠지지 않는 지혜로운 행동이 필요할 것입니다. 주님과 함께 온전히 동행하시는 귀한 한 주가 되시기를 기도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