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를 희망으로 바꾸는 힘(사 6:1-5) - 김인철 목사
우리는 가장 발달한 과학 문명의 혜택을 누리며 살아가지만, 그것들이 우리의 정신적 건강까지 책임지지는 못합니다. 사람들은 여전히 정신적인 문제로 인해 극단적인 선택을 하고 있으며, 그 비율은 매년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그중 “우울, 곧 상실과 절망”은 가장 큰 비중으로 극단적 선택을 하는 원인이라고 합니다. 돌아가신 팀 켈러 목사님은 “우리는 속속들이 희망을 먹고 사는 피조물이다”라고 말을 하며, “미래에 대한 기대”가 희망을 가지고 살아갈 힘이 된다고 말을 합니다. 오늘 본문의 말씀을 통해서 “절망적 포기의 상황”을 극복하여 희망으로 바꾸는 힘이 무엇인지를 나눌려고 합니다.
- 유다의 표면적 위기: 예배의 무너짐, 정의와 공의가 무너짐, 심각한 우상 숭배.
- 유다의 근본적 위기: 하나님이 하시는 일에 관심도 없고, 하나님을 바라보지도 않음.
우리는 가장 발달한 과학 문명의 혜택을 누리며 살아가지만, 그것들이 우리의 정신적 건강까지 책임지지는 못합니다. 사람들은 여전히 정신적인 문제로 인해 극단적인 선택을 하고 있으며, 그 비율은 매년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그중 “우울, 곧 상실과 절망”은 가장 큰 비중으로 극단적 선택을 하는 원인이라고 합니다. 돌아가신 팀 켈러 목사님은 “우리는 속속들이 희망을 먹고 사는 피조물이다”라고 말을 하며, “미래에 대한 기대”가 희망을 가지고 살아갈 힘이 된다고 말을 합니다. 오늘 본문의 말씀을 통해서 “절망적 포기의 상황”을 극복하여 희망으로 바꾸는 힘이 무엇인지를 나눌려고 합니다.
- 유다의 표면적 위기: 예배의 무너짐, 정의와 공의가 무너짐, 심각한 우상 숭배.
- 유다의 근본적 위기: 하나님이 하시는 일에 관심도 없고, 하나님을 바라보지도 않음.
1. 위기를 희망으로 바꾸는 힘은 “하나님에 대한 (시선)”을 회복하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2. 위기를 희망으로 바꾸는 힘은 “하나님을 나의 삶에 (주인)으로 인정함”에서 나옵니다.
[적용을 위한 질문]
1. 신앙과 삶의 위기는 하나님이 나의 관심 밖으로 밀려났을 때 시작됩니다. 최근에 무엇에 가장 많은 관심과 시간을 쏟고 있으신가요? 그 관심과 시간을 통해 영적으로 얻게 된 유익은 무엇이었고 영적인 손해는 무엇이었는지 생각해 봅시다.
2. 위기와 절망보다 하나님은 더 가까이 우리와 함께 계신다는 믿음을 가지고, 하나님의 동행하심에 감사한 마음을 5가지의 감사 제목으로 표현해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