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철 목사

위기를 희망으로 바꾸는 힘

위기를 희망으로 바꾸는 힘(사 6:1-5) - 김인철 목사

우리는 가장 발달한 과학 문명의 혜택을 누리며 살아가지만, 그것들이 우리의 정신적 건강까지 책임지지는 못합니다. 사람들은 여전히 정신적인 문제로 인해 극단적인 선택을 하고 있으며, 그 비율은 매년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그중 “우울, 곧 상실과 절망”은 가장 큰 비중으로 극단적 선택을 하는 원인이라고 합니다. 돌아가신 팀 켈러 목사님은 “우리는 속속들이 희망을 먹고 사는 피조물이다”라고 말을 하며, “미래에 대한 기대”가 희망을 가지고 살아갈 힘이 된다고 말을 합니다. 오늘 본문의 말씀을 통해서 “절망적 포기의 상황”을 극복하여 희망으로 바꾸는 힘이 무엇인지를 나눌려고 합니다.

- 유다의 표면적 위기: 예배의 무너짐, 정의와 공의가 무너짐, 심각한 우상 숭배.
- 유다의 근본적 위기: 하나님이 하시는 일에 관심도 없고, 하나님을 바라보지도 않음.

우리는 가장 발달한 과학 문명의 혜택을 누리며 살아가지만, 그것들이 우리의 정신적 건강까지 책임지지는 못합니다. 사람들은 여전히 정신적인 문제로 인해 극단적인 선택을 하고 있으며, 그 비율은 매년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그중 “우울, 곧 상실과 절망”은 가장 큰 비중으로 극단적 선택을 하는 원인이라고 합니다. 돌아가신 팀 켈러 목사님은 “우리는 속속들이 희망을 먹고 사는 피조물이다”라고 말을 하며, “미래에 대한 기대”가 희망을 가지고 살아갈 힘이 된다고 말을 합니다. 오늘 본문의 말씀을 통해서 “절망적 포기의 상황”을 극복하여 희망으로 바꾸는 힘이 무엇인지를 나눌려고 합니다.

- 유다의 표면적 위기: 예배의 무너짐, 정의와 공의가 무너짐, 심각한 우상 숭배.
- 유다의 근본적 위기: 하나님이 하시는 일에 관심도 없고, 하나님을 바라보지도 않음.

1. 위기를 희망으로 바꾸는 힘은 “하나님에 대한 (시선)”을 회복하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2. 위기를 희망으로 바꾸는 힘은 “하나님을 나의 삶에 (주인)으로 인정함”에서 나옵니다.


[적용을 위한 질문]
1. 신앙과 삶의 위기는 하나님이 나의 관심 밖으로 밀려났을 때 시작됩니다. 최근에 무엇에 가장 많은 관심과 시간을 쏟고 있으신가요? 그 관심과 시간을 통해 영적으로 얻게 된 유익은 무엇이었고 영적인 손해는 무엇이었는지 생각해 봅시다.
2. 위기와 절망보다 하나님은 더 가까이 우리와 함께 계신다는 믿음을 가지고, 하나님의 동행하심에 감사한 마음을 5가지의 감사 제목으로 표현해 봅시다.

회복을 원한다면, 지금 해야 할 일은?

회복을 원한다면, 지금 해야 할 일은? (슥8:14-17) - 김인철 목사

“통곡의 벽”은 유대인들에게 상징적인 장소입니다. 그곳은 예루살렘 성전의 서쪽 벽이 무너진 잔해입니다. 유대인들에게 있어서 성전은 그들의 삶에 정체성이며 가장 중요한 장소입니다. 그러나 그 성전은 1차로 바벨론에 의해서, 2차로 로마에 의해서 무너졌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통곡의 벽 앞에서 성전을 다시 세울 날만 기다리고 눈물을 흘리고 기도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성전이 회복되면, 하나님의 영광이 다시 유대인을 중심으로 “회복”될 것이라고 믿기 때문입니다. 오늘 우리가 나눌 스가랴 선지자는 1차 바벨론에 의해서 무너진 성전을 재건하는 일에 대한 필요성을 선포하며 격려하는 내용 입니다. 그리고 동시에 “진정한 회복”은 성전 재건이 아닌, 삶의 방향성을 회복하는 것임을 말씀합니다.

1. 회복을 원한다면, 하나님이 나의 삶에  주인 임을 인정하십시오.
하나님은 항상 이스라엘 백성들을 지켜보고 계십니다. 하나님의 징계와 은혜는 끊임없이 하나님이 그들과 함께 하셨다는 증거가 됩니다. 하나님은 모든 역사와 우리의 삶을 살피시는 주인이십니다.

2. 회복을 원한다면, 오늘을 하나님의 자녀답게 살아내십시오.
예수님을 믿음으로 구원을 받았다는 복음의 핵심을 믿는 성도라면, 복음적인 삶을 살아야 합니다. 지금, 해야 할 일은 교회 안에서 뿐만 아니라 교회 밖에서도 하나님의 자녀답게 살아내는 것입니다.

3. 회복을 원한다면, 다시 오실 주님을 열망 하십시오.
스가랴서는 메시야에 대한 예언들이 많이 나오는 성경 중에 하나입니다.
3:8 -- “싹” = 예수 그리스도 / 6:12 -- 싹이 여호와의 전을 건축하리라
9:9 -- “겸손하여 나귀를 나심” -- 나귀타고 예루살렘으로 입성하신 예수님
그리고, 12-14장에서는 궁극적으로 메시야가 오셔서 완전히 회복하실 것임을 예언합니다. 주님의 다시 오심이 우리의 소망이 되어, 오늘의 고통을 견디며 예수님의 제자답게 살아내십시오.

숙제
경건한 삶의 회복을 위해서, 성경 통독, 기도하는 삶, 예배 드리는 삶에 더욱 열정을 가지고 참여해 봅시다. 그리고 삶의 현장인 가정과 일터에서 예수님의 제자답게 칭찬과 격려의 말로 샬롬을 실천해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