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교회(1): 왜 가정교회인가?

가정교회(1): 왜 가정교회인가? (눅5:31-39)

* 오늘 본문에서 예수님은 바리새인과 서기관들과 논쟁하는 자리에 계십니다. 원인 제공은 예수님 쪽에서 하신 것 같습니다. '왜 죄인들과 어울리고 왜 금식하며 기도하지 않느냐'는 이들의 질문에 답하시는 주님의 모습을 통해 우리가 준비하는 새로운 목장재편성과 가정교회의 참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 임마누엘 장로교회는 99년 4월부터 지금까지 가정교회를 통해 하나님의 크신 은혜를 경험하였고 그 가운데 걸어 왔습니다. 22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새 포도주를 새 부대에 담아야 하는 변화와 도전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안정감이나 단순한 친목에 머물지 않고 계속해서 변화되고 계속해서 도전을 받아야 하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요?

1. 가정교회는 교인을 (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아니라 교회의 ( )이기 때문입니다.

- 셀교회와 가정교회의 차이를 아시나요? - 교회는 하나의 조직이 아니라 가족 공동체임을 잊지 마십시오.

- 주님이 원하시는 교회의 모습은 가정교회를 통해 실현됩니다.

- 가정교회는 유동성, 다양성, 신축성을 가지고 끊임 없이 갱신되어야 합니다.

2. 가정교회의 성도들은 단순한 ( )이 아니라 ( ) 사역자이기 때문입니다. (엡4:12-13)

- 주님은 교회의 지체인 성도들을 목회의 자리로 부르셨습니다.

- 가정교회의 성도들은 사랑 안에서 진리를 말하며 몸을 세워야 합니다. (엡4:15-16)

- 우리 교회의 모든 성도들이 다 가정교회의 일원으로 사역하는 꿈을 함께 꿉시다.

적용과 숙제:

- 가정교회에 소속되어 있다가 나오신 분들은 스스로에게 다시 한번 물어보시기 바랍니다. 나는 참된 교회의 지체로서 주님이 원하시는 자리에 있는가?

- 목자/부목자로 헌신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기도하면서 이번에 마음의 결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 8월7일, 14일 오전에 진행되는 가정교회 세미나에 등록하셔서 가정교회의 참된 의미를 알아가는 시간이 되시기 바랍니다.

바울, 회복되다

바울, 회복되다 (행18:9-11)

* 오늘 본문은 우리에게 낯선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익숙한 바울의 모습은 불같이 타오르는 열정의 사나이였습니다. 그런데, 오늘 본문 속의 모습은 지친 모습, burn out 된 모습입니다. 바울이 지친 이유를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1) 여정이 힘들었습니다 - 빌립보, 데살로니가, 베뢰아, 아덴

2) 고린도는 힘든 도시였습니다. 3) 혼자였습니다. (고전 2:3)

그런데, 바울이 어떻게 새 힘을 회복했을까요?

I. 기도할 때 회복됩니다. (행 18:9)

밤새 기도했고, 응답받을 때까지 기도했고, 세밀하게 기도했습니다.

II. 하나님이 함께 하실 때, 회복됩니다. (행 18:10)

함께 (롬 6:8, 고전 7:24, 고후 5:8, 엡 2:5) 안에 (롬 8:1, 롬 8:39, 고전 16:24, 빌 4:4, 딤후 2:1)

"이 성중에 내 백성이 많다."

III. 공동체와 함께 할 때, 회복됩니다.

1) 실라와 디모데 (행 18:5)

2) 브리스가와 아굴라 (행 18:2-3, 롬 16:4)

3) 유스도와 그리스보 (행 18:7-8)

* 우리도 목장 공동체안에서 새 힘을 회복하시길 축복합니다.

믿고 싶어하는 당신에게(4): 다닐 만한 교회가 없습니다

믿고 싶어하는 당신에게(4): 다닐 만한 교회가 없습니다 (엡4:11-16)

* 우리 주변에는 교회에 다니시다가 이런저런 이유로 출석을 그만 두신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이분들의 다양한 이유를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실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생겨난 '가나안 성도'라는 신종 용어는 '안나가'를 거꾸로 한 말입니다. 하나님은 믿지만 더 이상 교회에 출석하지 않는 분들을 가리킵니다. 다닐만한 교회가 없다고 말하는 분들에게 할 수 있는 권면은 무엇일까요? 에베소서에서 말씀하는 신앙의 본질, 교회의 본질을 함께 생각해 봅시다.

1. 교회의 규모를 보지 말고 ( )이 있는지를 보아야 합니다.

- 교회가 크다고 해서 다 좋은 교회가 아니며 작은 교회라고 다 아름다운 것도 아닙니다.

- 교회의 건강함을 가늠하는 척도는 숫자가 아니라 거룩함입니다. (*바울의 기도 ①엡1:15-19; ②엡3:14-19)

2. 사람을 바라보면 실망하지만 ( )을 바라보면 성숙해 집니다. (15-16절)

- 교회의 머리는 사람이 아니라 예수님이십니다. (엡1:22-23; 2:20-22; 15-16절)

- 사람은 신앙의 대상이 아니라 사랑의 대상입니다.

3. 다닐 교회를 찾지 말고 ( ) 교회를 찾으십시오. (12절)

- 목회자의 직무는 성도들을 잘 세워드리는(equip) 데에 있습니다.

- 봉사의 일은 곧 목회와 사역(ministry)입니다. 성도님들이 주체가 되어야 합니다.

결론: 진정으로 아름답고 완벽한 교회는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다 성화되어 가는 중이고 우리의 구원은 여전히 공사중(under construction)입니다. 당신께서 가진 열정으로 좋은 교회를 세워 가십시오.


믿고 싶어하는 당신에게(3): 도저히 안 믿어집니다

믿고 싶어하는 당신에게(3): 도저히 안 믿어집니다 (히11:1-3)

* 신앙의 세계는 신비롭고 설명되지 않는 영역입니다. 단순히 증명되지 않는다고 미신이라고 말하는 것은 과연 합당한 것일까요?

- "과학적으로 설명될 수 없는 종류의 질문은 중요하지 않으며 미신에 불과하니 제거해야 한다" - 리처드 도킨스

- "과학과 신앙은 서로 다른 종류의 질문을 다룬다. 과학은 자연이 어떻게 작동하는가의 질문을(HOW) 다룬다면, 신앙의 영역은 보다 철학적인 질문(WHY)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 프랜시스 콜린스

- 이 두 사람의 논증에서 우리는 어느 것이 더 합당하다고 보아야 할까요? 신앙의 세계에 대해서 방황하며 질문하시는 분들이 생각해야 할 세 가지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 )과 신앙의 차이점을 구분해야 합니다.

- 신앙인의 확신은 어디에 근거한 것일까요? (창1:1; 히1:1-3)

2. 신앙 영역에서는 이해가 먼저가 아니라 ( )이 먼저입니다.

- "You need to embrace first before you understand about somebody."

3. 신앙의 영역에서 ( )은 신앙 생활의 일부입니다.

- "it's okay to question your faith." (약1:8; 마28:16-17)

* 결론:

당신의 닫혀진 마음을 여시고 인격으로 하나님을 받아들여 보세요. 의심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마시고 계속해서 질문해 보세요. 찾고 구하는 사람에게는 문이 열리기 마련입니다.

영적 지혜가 있는 사람은

영적 지혜가 있는 사람은 (잠24:1-14)

임마누엘 장로교회의 수요예배 설교입니다. 가정에서 예배드리시는 성도님들과 온라인으로 함께 드렸던 2021년 7월 7일 예배에서는 조종연 목사님께서 잠언 24장 1-14절 말씀을 가지고 "영적 지혜가 있는 사람은"라는 제목으로 말씀을 주셨습니다.

믿고 싶어하는 당신에게(2): 사랑의 하나님이 지옥을?

믿고 싶어하는 당신에게(2): 사랑의 하나님이 지옥을? (눅16:19-26)

* 기독교 신앙에 대해 버거워하는 분들의 또다른 요소는 지옥의 존재입니다. 천국은 좋은 곳이라고 하니 별 말이 없습니다. 하지만 지옥은 다릅니다. 사실 대부분의 종교는 사후세계와 천국과 지옥에 대해 말합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왜 사랑의 하나님이라고 하면서 단지 하나님을 믿지 않았다는 이유로 끔찍한 지옥에 보낼 수 있느냐?'고 묻습니다. 오늘의 본문을 통해서 성경이 이야기하는 지옥에 대한 진리를 함께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1. 지옥은 하나님의 주인되심을 지속적으로 ( )하는 이들에게 마련된 곳입니다.

- 지옥은 원래 마귀와 사자들을 위하여 마련된 장소입니다. (마25:41)

- 지옥은 하나님이 보내시는 곳이라기 보다는 내가 마음 먹은 대로 살았기 때문에 가는 곳입니다. (눅16:24)

2. 지옥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하나님의 ( )는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입니다.

- 성경의 하나님은 사랑의 하나님이시면서 동시에 ( )의 하나님이십니다. (계20:12)

- 보편구원론(universalism)이나 멸절설(annihilationism)도 답이 될 수는 없습니다.

3. 지옥에 가지 않을 ( )을 가진 사람은 원래 없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롬3:23-24)

- 우리의 죗값은 인간을 대표하신 하나님이 아니고서는 치를 방법이 없었습니다.

- 예수님은 우리가 받을 영원한 지옥의 고통을 영원히 단번에 받으셨습니다. (고후 5:21)

결론:

미처 다 이해하지 못할 신학적인 질문으로 핵심을 피해가기 보다는 성경이 말하는 핵심 메시지 앞에서 진지하게 반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요3:16)

믿고 싶어하는 당신에게(1): 기독교는 편협하지 않나요?

믿고 싶어하는 당신에게(1): 기독교는 편협하지 않나요? (요14:6)

* 기독교를 바라보는 세상의 시선이 참 따갑습니다. 어느덧 개신교는 한국사회에서 종교에 대한 호감도가 가장 낮은 종교가 되었습니다. 여러가지 원인 규명이 가능하겠지만 그중에 한가지 이유는 '기독교가 너무 교만하고 배타적이다'라는 것입니다. 왜 자기 종교에만 진리가 있다고 편협하게 주장하는가? 설교를 들으시는 여러분의 대답은 어떠하신지요?

기독교를 대하는 분들이 갖고 있는 세가지 질문:

1. 기독교가 주장하는 '오직 예수' 교리는 너무 ( ) 주장이 아닌가?

2. 결국 어떤 종교를 가졌든 착하고 올바르게 살면 다 ( ) 이르는 것이 아닌가?

3. 모든 종교는 각기 ( ) 진리를 갖고 있는 것이 아닌가? (*코끼리를 만지는 세 명의 장님들의 예)

결론:

* "기독교는 구원에 이르는 길에 있어서 가장 '포용적인' 배타성을 가진다"(Christianity is the most 'inclusive' exclusive way to salvation) - Dr. Tim Keller

* 성경이 침묵하고 있는 부분에 관하여는 우리도 침묵하지만 오늘 이 설교를 듣고 계신 당신에게 하나님께서는 진리 가운데 나오라고 말씀하고 계십니다. (행17:30-31; 롬1:16-20)


아버지의 사랑

아버지의 사랑 (눅15:11-32)

* 문제의 발단

이 가족의 갈등과 긴장은 무엇에서 시작되었는가?

_________을 잘못 정한 두 형제의 선택, __________에서 시작

* 작은 아들의 문제점

"내게 돌아올 분깃을 내게 주소서(12절)"

- 아버지와의 ____보다 아버지의 ____을 목적으로 한 것

- 아버지와 함께 사는 것보다 자기가 주인된 인생을 살기 원함

* 큰 아들의 문제점

"내가 여러 해 아버지를 섬겨 명을 어김이 없거늘 내게는 염소 새끼라도 주어 나와 내 벗으로 즐기게 하신 일이 없더니... 이를 위하여 살진 송아지를 잡으셨나이다(29-30절)"

- 겉으로 순종적이나 아버지 말고 다른 것을 사랑함

- 행위로 원하는 것을 얻으려하고 그것이 단절되자 분노함

- 아버지를 ____하기 보단 아버지의 ___을 사랑하였음

* 사랑의 대상을 잘못 정할 때 그것이 삶을 파괴하고 관계를 손상시킨다

- "세상의 많은 문제들은 사랑의 무질서 때문이다" 성 어거스틴

* 우상은 삶을 공허하게 하고, 관계를 파괴하며, 노예화 시킨다

* 우상은 우리가 원하는 것을 줄 수 없다

* 문제의 해결책

1. 회개해야 한다(본문 17, 18, 20절)

2. 사랑의 대상과 순서를 바꿔라(마22:37-40)

3. 아버지가 하신 일을 기억하고 믿고 감사하라

- 살림에 해당하는 헬라어 bio

- 자격없는 자에게 부어진 아버지의 사랑

- 자녀됨은 업적이나 공로로 이뤄지지 않는다

숙제:

1. 육신의 아버지에게 전화, 카드 보내며 감사의 고백하기

2. 하루 3번 이상 찬양하고 5분 이상 기도하기

3. 가족들과 함께 성경 읽고 가정 예배 드리기

요셉이 아니라 유다였습니다

요셉이 아니라 유다였습니다 (창38:24-30)

* 창세기 37-50장까지 이어지는 기나긴 요셉 이야기의 중간 38장에서 우리는 갑작스레 낯선 이야기를 만나게 됩니다. 누가 보기에도 민망한 이 이야기가 여기에 기록되어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성경의 인물 중에서 예수님을 가장 많이 닮았다고 하는 요셉을 주목하려는 우리에게 들려주시고자 하는 하나님의 말씀을 오늘 우리는 마음에 새겨야 합니다.

1. 하나님께서는 인간의 가장 부끄러운 ( ) 가운데서도 우리를 구원하신다 (마1:1-6, 16-17)

2. 고상하게 믿으려고 ( ) 말라 (창49:8-10)

3. 인간의 구원은 요셉처럼 산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 )로 가능하다

적용과 숙제:

* 신앙 생활 하면서 나도 모르는 새 본인의 업적과 공로, 집안 배경 등을 자랑하려고 하는 마음은 없었는지요? 주님은 오늘 나에게 뭐라고 말씀하십니까?

* 이번 주에는 일어나서 찬송가 305장, '나같은 죄인 살리신'과 '하나님의 은혜'를 부르면서 하루를 시작해 보세요.

* 나처럼 부족하고 연약해 보이는 그 누군가가 구원의 메시지를 듣고 반응할 수 있도록 VIP를 위한 릴레이 기도에 참여해 보세요.

예수님의 VIP(6): 38년된 병자

예수님의 VIP(6): 38년된 병자 (요5:1-15)

*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이라는 과거의 유행어는 지금도 여전히 유효한 말입니다. 세상은 여전히 1등외에는 시선을 두지 않는 그런 곳입니다. 은혜가 사라지고 자비가 사라진 이런 세상에서 참된 은혜와 자비를 경험하려면 우리는 오늘 말씀에서 무엇을 기억해야 할까요?

1. 예수님이 함께 하시지 않은 곳은 그 어디라 하더라도 '자비의 집'이 될 수 없습니다.

- 베데스다(house of grace, house of mercy)는 결국 말뿐인 곳이었습니다. (2-4절)

- 교회는 자포자기한 사람들에게 자비를 베풀고 은혜를 전하는 곳이 되어야 합니다.

2. 예수님 안에는 율법의 원리가 아니라 은혜의 원리가 작동하고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 은혜가 사라진 율법주의 종교를 경계해야 합니다. (10절)

- 안식의 참된 의미는 내가 주인 되는 일정이 아니라 하나님의 리듬에 나의 일정을 맡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 예수님이야 말로 우리에게 진정한 안식과 자유를 주시는 분이십니다. (14-15절; 2절; 요10:7-10)

적용과 숙제:

* 6월부터는 여러분의 VIP를 위해 시간을 정해 놓고 집중적으로 기도하시기 바랍니다. 시간과 건강이 허락되시면 중보기도팀에도 지원하셔서 매주 한 끼를 금식하며 기도에 동참해 주십시오.

* 교회 안에서 함께 지체로 살아가지만 은혜는 사라지고 '율법주의’만 남은 모습이 우리에게는 없습니까? 누군가의 회복을 기뻐하기 보다는 규칙이 앞서고 판단함이 앞서는 자신의 모습을 회개하며 예수님께로 나아갑시다.

예수님의 VIP(5): 예수님을 따라 가십시다

예수님의 VIP(5): 예수님을 따라 가십시다 (요4:3-4)

* 우리는 계속하여 예수님의 VIP 시리즈를 주일 설교로 나누고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사마리아 여인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하신 일을 따라 가 봅시다.

1. 사마리아를 통과하신 일

2. 유대인으로 사마리아 여자에게 물을 달라고 하신 일

3. 물을 달라고 한 이가 오히려 물을 줄수 있다 하신 일

4. 게다가 그 물을 마시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겠다고 하신 일

5. 남편이 없는 여자에게 남편을 데려오라 하신 일

6. 이 산도 말고 예루살렘에서도 말고 아버지께 영과 진리로 예배하라고 하신 일

7. 사마리아 여인에게 자신이 메시야임을 알리신 일

8. 음식을 사온 제자들에게 내 양식은 나를 보내신 이의 뜻을 행하며 그의 일을 온전히 이루는 것이라 하신 일

9. 추수할 때가 넉달이 지나야 되는 것이 아니라 지금이 추수할 때라고 하신 일

10. 제자들을 노력하지 아니한 것을 거두러 보내신 일

11. 사마리아에서 이틀을 더 유하신 일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이 이해할 수 없었던 일을 통하여 사마리아 여인과 사마리아 지역에 복음을 전하셨습니다. 예수님을 따라가는 우리들이 오늘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요?

* 적용과 숙제

- 예수님은 우리들에게 복음 전파의 사명을 주셨습니다.

- 복음 전파의 사명은 이루어야 하지만, 내가 갈수 없고 만날수 없다고 생각한 사람들은 누구였나요?

- 예수님께서 그분을 따르는 나를 데리고 어디로 가실 것 같으신가요?

- 그곳이 가기를 꺼려하는 곳이며, 그 일이 이상한 일이라고 하더라고 예수님을 따라 가실건가요?

- 내가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해야 할 이상한 일은 어떤 일일까요?

- 그 사명을 이루기 위해 나는 어디로 가서 누구에게 물을 달라고 이야기 해야 할까요?

아직 자신의 VIP를 작정하시지 않으신 분은 이번 주에 최소 한 사람을 떠올리며 주님께 올려드리십시오. 또한 6월부터 시작되는 기도팀에 자원하셔서 기도에 동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