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계신데 아시는 하나님
“아니 계신데 아시는 하나님” (욥기 23:8-10)
* 욥기와 친해지기
욥기에서 우리와 익숙한 성경구절은 내가 가는 길을 그가 아시나니 그가 나를 단련하신 후에는 내가 순금같이 되어 나오리라는 욥의 고백과 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네 나중은 창대하리라는 빌닷의 말일겁니다.
* 그래도 너무나 낯선 욥기
- 그런데 욥은 앞으로 가도 그가 아니 계시고, 그분을 만날수도 뵈올수도 없다라고 고백합니다.
- 그런데 어떻게 욥은 자신의 고난의 끝을 하나님께서 아시며, 이 고난이 하나님의 단련이라는 것을, 그리고 그 단련이 끝난후에는 자신이 순금과 같이 나오게 될 것이라고 고백할 수 있었을까요?
* 그래도 욥기에 다가가기
- 욥기의 주제는 의인이 당하는 고난, 나아가서 인간이 당하는 고통과 고난에 대하여 하나님께서 무엇이라고 말씀하시는가에 대한 책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 나 혹은 주변의 사람이 고난을 당할 때 우리도 욥과 같이 전능하시며 천지를 다스리시는 하나님께서 왜 그런 고통을 허락하시는가 질문하게 됩니다.
* 동전의 뒷면 보기
- 또한 욥기는 인간이 왜 하나님을 섬기는가에 대하여 질문하고 있습니다. 욥이 하나님을 섬기는 이유가 하나님이 주시는 복 때문이라는 사단의 질문에 그렇지 않다라고 하나님께서 사단에게 욥을 통하여 답하시는 내용이 바로 욥기의 주제입니다.
- 하나님께서 사단의 질문에 욥의 삶으로 답하시는 중에 욥은 자신의 순전함을 지키며 자신에게 고난을 허락하신 하나님 뵈옵기를 소원하였습니다.
* 욥에게 보여주신 창조의 하나님
- 결국 하나님은 욥을 만나 주셨고, 욥의 고난의 이유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오히려 창조주 하나님만이 가지실수 있는 지식에 대한 질문을 함으로 욥은 창조주 하나님을 만나게 됩니다.
- 그래서 욥은 전에는 귀로만 주님에 대하여 들었었는데 이제는 눈으로 주님을 뵈옵는다고 고백합니다. 창조된 모든 세계를 볼 때 마다 하나님께서 창조주이며 자신이 피조물이라는 것을 고백하는 신앙을 갖게 되었습니다.
*결론 및 적용
- 욥기는 인간이 아무런 댓가 없이 하나님을 섬기겠는가에 대한 하나님의 답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께서 아무런 댓가 없이 인간을 사랑하시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한 하나님의 대답입니다.
- 오늘도 사단은 여전히 하나님께 질문하기를 인간이 어찌 까닭없이 하나님을 섬기겠는가 질문합니다. 그 질문에 여러분은 어떻게 답하시겠습니까?
God's Answer to Your Suffering
"God's Answer to Your Suffering" (Job 42:5-6) - P. Brian Hwang, May 24, 2020
고통 중에 함께 계시는 하나님
“고통 중에 함께 계시는 하나님” (욥기 1:6-12;20-22)
* 마음의 문을 열며:
- 기독교인들에겐 뭔가 불편한 영화 <밀양>과도 같이 우리에게 좀 불편한 책 '욥기'
- 욥기는 우리에게 말해 줍니다. 답이 없는 신앙의 길이 우리에게 놓여있음을 기억하라고...
* 말씀의 씨를 뿌리며:
욥기 서론에 나타나는 욥의 모습을 통해 우리가 붙잡아야 할 신앙의 교훈은 무엇일까요?
1. 우리는 사탄의 영역도 결국은 하나님의 주권 아래에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6절; 대상21:1; 삼하24:1; 눅4:1-2)
2. 답을 알지 못하는데도 억지로 침묵할 필요는 없습니다. 아프면 아프다고 말해야 합니다. (1:21-22; 2:10; 3:1,11; 10:1; 16:9)
* 삶의 열매를 거두며:
- 아파하는 사람 곁에 가서 해줄 수 있는 최선은 그냥 가만히 곁에 있는 것입니다. (욥2:11-13)
욥의 세 친구들 | 카테고리 | 그들의 논리 |
---|---|---|
엘리바스 | 회개만 강조하는 근본주의자 | “자네가 잘못한 게 분명해” |
빌닷 | 사상만 거창한 지성인 | “크신 하나님을 모독하지 말게” |
소발 | 자기 의에 빠진 도덕주의자 | “규칙을 지키게 친구” |
- 욥기가 성경에 정경으로 있는 이유(예수님과의 관계)는 무엇일까요? 우리를 위해 모든 고난을 참으신 예수 그리스도를 깊이 생각하십시오. 그리고 내 곁에 은밀히 계신 하나님을 기억하십시오.
세 인물 | 소유의 여부 | 상실의 여부 | 반응 | 참고 구절 |
---|---|---|---|---|
아담 | 다 가짐 | 잃은 것이 없음 | “하나님과 같이 되어” | 창3:5-6 |
욥 | 많이 가짐 | 모두 잃음 | 결국은 불평함 | 욥32:1-2 |
예수 그리스도 | 다 가짐 | 스스로 포기함 | 불평하지 않음 | 히12:2-3 |
* 숙제:
어려움을 당하고 있는 이웃이나 친구에게 연락하여 그의 이야기를 묵묵히 들어만 주세요.
The Beginning of Wisdom
"The Beginning of Wisdom" (Job 1:1-22) - P. Seung Kim, May 17, 2020
무대 뒤에서 일하고 계시는 하나님
“무대 뒤에서 일하고 계시는 하나님” (에6:1-14)
* 마음의 문을 열며:
- 성경에서 ‘하나님’의 이름이 단 한 번도 언급되지 않는 한 권은 ( ) 입니다.
- 그러나 이 책에서 우리는 낯선 이방 땅의 무대 핵심에 섰던 신앙인들의 삶을 여전히 인도하시는 하나님의 선하심을 볼 수 있습니다.
- 하나님이 전혀 계시지 않는 것 같은 상황 속에서 우리는 어떤 마음가짐으로 살아야 할까요? 본문을 통해 우리가 새겨야 할 교훈을 생각해 봅시다.
* 말씀의 씨를 뿌리며:
1.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우연이란 없습니다. (6:1; 1:1; 2:21-23; 룻2:3)
2. 하나님은 주님을 높이지 않고 자신을 높이는 자들을 부끄럽게 하십니다. (6:6-9; 3:7; 5:12-14; 7:10; 4:14)
3. 하나님의 선한 손은 보이지 않는 것 같지만 지금도 부지런히 움직이고 계십니다. (스7:9; 스8:18; 느2:8)
* 삶의 열매를 거두며:
- COVID-19 시대 속에서도 하나님은 여전히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일하고 계십니다. 신실하신 하나님의 경륜(oikonomia)을 믿고 그분을 의지하십시오.
- 위기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의 계획은 차질 없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에스더서가 성경에 정경으로 실려있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이 사실을 기억하며 만왕의 왕으로 오실 예수님을 사모하십시오.
Trusting the Invisible (and Sovereign) God
"Trusting the Invisible (and Sovereign) God" (Esther 6:1-13) - P. Seung Kim, May 10, 2020
먼저 기도하고 나서 행동하라
“먼저 기도하고 나서 행동하라” (느1:1-11)
* 마음의 문을 열며:
- 기도만 하고 실천하지 않는 사람과, 행동은 하는데 기도하지 않는 사람 중에 누가 더 나은가요? 정답은 ( ) 아닙니다.
* 말씀의 씨를 뿌리며:
- 느헤미야는 현실에 그저 안주하지 않았습니다.(1절, 11절, 2-3절)
- 느헤미야는 뜻을 두고 진중하게 기도하였습니다.(4절; 느2:1, 4)
- 하나님은 있는 듯 없는 듯 사람을 통해 일하십니다.(느2:2, 8)
* 삶의 열매를 거두며:
- 느헤미야 이야기가 성경에 있는 이유: 스룹바벨은 성전의 재건, 느헤미야는 성벽의 재건, 에스라는 영적 갱신을 이끌었다면 한가지 빠진 것이 있습니다. 아직 예루살렘에는 ( )이 없습니다.
- 코로나19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성벽을 재건’하는 것을 어떻게 적용해야 할까요? 우리는 어떻게 이 시대 속에서 신앙을 행동으로 옮길 수가 있을까요?
Pray Always, Pray First
"Pray Always, Pray First" (Neh 1:1-11) - P. Seung Kim, May 3, 2020
회복되어야 할 우리의 예배 - 히스기야 왕의 교훈
대하 29:1-11, "회복되어야 할 우리의 예배 - 히스기야 왕의 교훈"
* Opening:
- 역대기의 관심은 ( )를 회복시킨 왕들이 누구인가에 있었습니다.
- 남유다의 선한 왕이었던 히스기야의 종교 개혁을 통해 우리가 붙들어야 할 교훈은 무엇입니까?
* Outlines:
첫째로, 우리는 무엇을 회복해야 할지를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 히스기야는 악한 아버지 아하스왕이 남겨 놓은 나쁜 유산(왕하16:7-8, 17-18)을 곧바로 거두었습니다.(3절)
- 무엇이든 하나님 자리를 대신하고 있는 것은 우상입니다.(왕하18:4)
- 국가의 위기는 외교력의 약화가 아니라 예배가 약화될 때 찾아옵니다.
둘째로, 예배의 회복을 위해서 우리는 먼저 스스로를 성결케 해야 합니다.
- 자신을 성결케 하는 일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5절)
- 개혁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항상 자신을 먼저 돌아보아야 합니다. (갈6:1)
- 진정한 종교의 개혁을 예비하시는 분은 하나님이십니다. 사람의 모습은 연약하기 그지없습니다. (대하29:36; 대하32:25, 31)
* Application:
- 코로나19 시대를 살면서 우리가 놓치고 있었던 부분은 무엇인가요? 하나님께서 나에게 이제 어떻게 예배하라고 말씀하시는지요?
Light in the Darkness
"Light in the Darkness" (2 Chr 29:1-12,15-19) - P. David Moon APR. 26, 2020
과거를 돌아보며 미래를 꿈꾸라
“과거를 돌아보며 미래를 꿈꾸라” (대상 28:1-10)
* Opening:
오르난의 타작마당에서 제사를 드린 다윗이 그곳을 성전의 터라고 여기고 난 후 22장부터는 바로 그곳에 하나님의 성전을 지을 것을 명령하는 내용이 등장합니다. 오늘 28장의 말씀은 이스라엘의 모든 지도자들을 불러 성전 건축의 중요성과 자신의 후임으로 솔로몬이 이 일을 완수할 것을 명령하는 내용입니다. 사무엘서나 열왕기에 비해 역대기가 유독 성전에 초점을 두어 강조하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요? 바벨론 포로생활을 마치고 돌아온 세대에게 역대기라는 과거의 이야기가 들려주고 있는 메시지는 무엇일까요?
* Outlines:
첫째로, 역대기는 미래에 대한 절망이 아니라 희망의 노래를 불러야 함을 가르쳐 줍니다.
- 바벨론 포로생활을 마친 세대들에게 찾아온 현실은 결코 희망적이지 않고 절망적이었습니다. 나라가 망하고 본국으로 돌아온 이들이 가졌던 질문에 대해 역대기는 응답해야 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은 여전히 이들과 맺은 언약을 이루시는 분이라는 사실입니다.
- '아담'으로 시작해서(대상1:1) '고레스 칙령'으로 끝이 나는(대하 36:23) 역대기가 보여주는 희망을 기억하십시오.
- 역대기에 '온 이스라엘'이라는 용어가 꾸준히 사용되고 있음을 기억하십시오. (4절)
- '다윗'이 그토록 강조되는 이유는 인물됨 때문이 아니라 다윗이라는 모델을 통해 묘사되는 '메시야 왕'이 어떤 분이신지를 강조한다는 사실을 기억하십시오.
둘째로, 역대기는 성전이라는 지리적 건물이 아니라 모든 신자들이 성전이 되어야 함을 가르쳐 줍니다.
- 모세의 성막, 솔로몬의 성전, 스룹바벨의 성전, 헤롯의 성전 등은 하나님이 함께 하고 계심을 보여주는 상징이었습니다. 그러나 지리적인 성전은 일시적인 것이며 예수님의 그림자일 뿐이었습니다. (히 8:5-6; 9:23-24)
- 예수님이 곧 성전이시며 머리가 되십니다. 그리스도는 우리 안에 내주하시기 때문에 우리는 그리스도의 성전이 됩니다. (요 2:19-21; 엡 2:20-22; 고전 3:16-17)
- 새 하늘과 새 땅에서 우리는 완전한 하나님 나라의 완성을 보게 될 것입니다. 그 때에는 건물인 성전에서 하나님을 만나는 게 아니라 성전의 실체이신 하나님이 우리 사이에 영원히 사시게 될 것입니다. (계21:3; 21:22)
- 그러므로 우리는 모이는 성전에 대한 관심보다 더 중요한 것이 바로 흩어지는 성전으로 우리의 일상을 살아가는 것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 Application:
- 절망의 시대를 살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그러나 터널의 끝에 이르면 빛이 보일 것을 잊지 마십시오. 코로나19 사태도 하나님이 마무리하실 끝이 반드시 올 것입니다.
- 절망 속에 있는 이들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위로하고 필요하다면 물질로도 그들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실천해 보십시오. 우리 교회도 함께 그 일을 실천하는 교회가 되도돌 기도해 주십시오.
Live with God's Purpose
"Live with God's Purpose" (1 Chr 28:1-8) - P. Brian Hwang, Apr. 19, 2020
죄값을 완전히 치르다
“죄값을 완전히 치르다” (대상21:18-27)
1절 사탄이 일어나 이스라엘을 대적하고 다윗을 충동하여 이스라엘을 계수하게 하니라
8절 다윗이 하나님께 아뢰되 내가 이 일을 행함으로 큰 죄를 범하였나이다 이제 간구하옵나니 종의 죄를 용서하여 주옵소서...
1. 죄를 짓는 다윗
* 다윗은 교만의 죄, 곧 이전처럼 하나님을 의지하지 않고, 백성의 숫자를 의지하고 자기 힘과 권력을 과시하는 죄를 범한다.
* 이것이 세상 법으로는 아무 죄도 아니지만, 하나님 앞에서는 가장 치명적인 죄이다.
14절 이에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전염병을 내리시매 이스라엘 백성 중에서 죽은 자가 칠만 명이었더라
2. 징계하시는 하나님
* 하나님은 의로 징계하셨지만 동시에 사랑으로 용서하기 원하셨다(14-15절).
* 다윗은 백성을 위해 부르짖는다(16-17절).
18절 여호와의 천사가 갓에게 명령하여 다윗에게 이르시기를 다윗은 올라가서 여부스 사람 오르난의 타작마당에서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으라 하신지라
3. 해결책을 제시하시는 하나님
* 그런데 왜 오르난의 타작마당을 지명하셨는가?
* 다윗이 죄사함 받기 위해 번제를 드린 이 땅이 바로 아브라함이 아들 이삭을 드렸던 땅이기 때문이며, 솔로몬이 성전을 짓게 되는 땅이고, 또한 예수께서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실 땅이기 때문이다(대상21:28~22:2, 대하3:1, 창22:2).
* 여호와 이레 하나님(창22:14)께서 이 ‘산’에서 그로부터 2천년 후 백성의 죄를 지고 죽으실 ‘하나님의 어린양’을 준비하셨다.
* 모리아 산 오르난 타작마당에서 드려진 이 번제는 장차 그곳에서 드려질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음의 그림자(모형)였다.
24절 다윗이 오르난에게 이르되 그렇지 아니하다 내가 반드시 상당한 값으로 사리라...값없이는 번제를 드리지도 아니하리라 하니라
4. 완전한 값(the full price)을 치르다.
* 다윗이 죄 사함 받는 번제를 드리기 위해 완전한 값을 치른 것처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도 우리 죗값을 완전히 치르셨다(“다 이루었다” tetelestai, it is finished, it is fully paid, 요19:30).
5. 다시 살아나셨다.
* 아브라함의 믿음대로 독자 이삭을 죽이지 않고 살리신 것처럼 (히11:17-19), 하나님께서는 그의 독생자를 다시 살리셨다.
* 오늘은 부활주일, 부활이요 생명이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도 죽음을 이기고 부활하여 영원히 함께 산다(요11:25-26).
* 우리를 위해 죽으시고 부활하신 만왕의 왕 예수께서 선언하신다.
“내가 살았기 때문에 너도 살 것이다.”
(요14:19 Because I live, you also will live.)
Paid in Full
Paid in Full" (1 Chr 21:18-27) - P. David Moon, Apr. 12, 2020
네가 어찌하여 여기 있느냐
네가 어찌하여 여기 있느냐 (왕상19:1-18)
1절 아합이 엘리야가 행한 모든 일과 그가 어떻게 모든 선지자를 칼로 죽였는지를 이세벨에게 말하니
3절 그가 이 형편을 보고 일어나 자기의 생명을 위해 도망하여...
4절 자기 자신은 광야로 들어가...나무 아래에 앉아서 자기가 죽기를 원하여 이르되 여호와여 넉넉하오니 지금 내 생명을 거두시옵소서
1. 도망치는 엘리야
* 엘리야는 백성 앞에서 바알 선지자 450명과 대결하여 승리를
거두었다(18장). 그러나 죽이겠다고 위협하는 이세벨을 두려워
도망치며 깊은 절망과 우울증에 빠진다(19장).
* 어떤 모습이 엘리야의 진짜 모습인가?
8절 이에 일어나 먹고 마시고 그 음식물의 힘을 의지하여 사십 주 사십 야를 가서 하나님의 산 호렙에 이르니라
2. 힘을 주시는 하나님
* 하나님은 그런 그를 푹 자게 하시고 먹고 마시게 하신다.
* 우리도 지치고 힘들 때, 하나님께서는 쉼과 힘을 주신다.
새 힘을 얻어 하나님께 나아가자.
9절 엘리야가 그곳 굴에 들어가 거기서 머물더니 여호와의 말씀이 그에게 임하여 이르시되 엘리야야 네가 어찌하여 여기 있느냐
3. 물으시는 하나님
* 엘리야에게 하나님은 “네가 어찌하여 여기 있느냐”고 물으셨다.
* 이 질문은 “너의 일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네가 있을 곳은
이곳이 아니라 내 백성이 있는 곳, 이세벨이 너를 죽이려고
하는 그곳이다. 이제 그곳으로 가라”는 말씀이었다.
* 엘리야의 대답(10절)이 마음에 들지 않으신 하나님은 자신의
권능을 보여주신 후 세미한 음성으로 같은 질문을 다시 하신다.
* 엘리야의 대답이 동일하자, 후계자를 세우라고 하신다(16절).
4. 엘리야의 착각과 잘못
* 그는 형편을 보지 말고 하나님을 보아야 했다(3절).
* 그는 혼자가 아니었다(10,14,18절).
무엇보다도 권능의 하나님이 그와 함께 하셨다(11-12절).
* 그가 있어야 할 곳은 굴이 아니라 싸움과 폭력이 난무하는
세상, 곧 하나님의 백성들이 거하는 그곳이었다.
5. 결전의 자리로 나가신 예수님
* 오늘은 종려주일이다. 만왕의 왕 예수님은 엘리야처럼 위협을
피하여 굴로 들어가지 않고, 폭력과 살인의 도시, 증오와 죽음의
현장 예루살렘으로 곧장 들어가셨다(막10:32-34).
* 오늘날 나에게도 “네가 어찌하여 여기 있느냐”고 물으신다.
내가 머물고 있는 곳은 어디인가?
만왕의 왕께서 내가 있기 원하시는 곳은 어디인가?
* 예수님은 “나를 따라 오너라”고 말씀하신다. 굴에 머물지 말고
미움, 증오, 폭력, 죽음의 위협이 있는 곳, 수많은 영혼들이 죄
가운데 죽어가는 세상으로 왕이신 예수님을 따라 나가자.
Words of Comfort and Hope
"Words of Comfort and Hope" (1 Kgs 19:1-18) - P. Seung Kim, Apr. 5, 2020
인생의 나들목에서
"인생의 나들목에서" (삼하11:1-5)
* Opening
- 나들목과 분기점의 차이를 아시나요?
- 한번의 실수로 인생의 방향이 완전히 달라져 버리는 경우를 우리는 종종 보게 됩니다.
- 다윗의 인생은 삼하11장 이전의 삶과 이후의 삶으로 나뉜다고 해도 될 정도로 급격한 인생의 변화가 일어납니다. 불행한 지점으로 들어가는 나들목에 선 다윗의 모습을 통해 우리가 붙잡아야 할 교훈은 어떤 점들이 있을까요?
* Outlines:
첫째, 우리에게 주어진 자리를 성실히 지켜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 하나님 안에서 분주할 때는 마귀가 들어올 틈이 없습니다
- 유혹의 시간은 우리가 나태해 졌을 때 찾아 옵니다.
- 일상의 소중함을 깨닫고 자신이 있어야 할 자리를 지키는 것이 우리에게 주신 소명입니다.
둘째, 죄악의 댓가는 쓰지만 진실한 회개의 열매는 달다는 사실입니다.
- 다윗의 죄악으로 말미암아 일어난 후반부는 감당하기 어려운 시련의 연속이었습니다.
- 그러나 다윗은 죄악 가운데에서도 바로 회개할 수 있는 용기를 가진 사람이었습니다. (삼하12:13)
- 진정한 회개는 핑계거리를 찾지 않고 자신의 죄를 직시합니다. (삼상15:20-21; 삼상15:30; 시51:4)
- 결과적으로 보면 다윗이 ‘하나님 마음에 합한 사람’이라는 놀라운 칭호를 얻을 수 있었던 이유는 그에게 있었던 깨어진 마음 때문이었습니다. (행13:22; 왕상15:3; 왕하14:3; 왕하16:2)
- 다윗이 소유했던 보석같은 성품은 자신의 연약함을 인정하며 하나님의 은혜를 구했던 깨어진 마음이었습니다. (시51:17; 사57:15)
- 우리의 죄악을 구속하시기 위해 이 땅에 오셨던 예수님은 우리를 위해 상함(깨어짐)을 받으셨습니다. (사53:10); 이러한 시기에 우리가 주님께 구해야 할 것은 겸손과 깨어짐입니다. (빌2:5-8)
* Application:
- 전염병이 창궐한 이 시기에 부활절을 사모하며 우리가 주님께 구해야 할 마음의 자세는 무엇입니까? 재물보다 여흥보다 취미보다 더 중요한 인생의 가치가 무엇인지 이러한 시기를 보내며 주님 앞에서 결단의 시간을 가져 보십시오.
I am Pregnant
“I AM PREGNANT” (2 SAM 11:1-5) - P. BRIAN HWANG, MAR. 29, 2020
승리하신 왕
승리하신 왕 (삼하5:1-5)
1. 고난 뒤에 온 승리
* 왕으로 기름부음을 받고(삼상16장) 골리앗과 블레셋 군대에 승리한 후(17장), 다윗은 그를 질투하며 죽이려고 추격하는 사울 왕을 피해 광야를 헤매며 온갖 고초와 환란을 당한다(18-31장).
* 그런 중에도 다윗은 하나님의 주권에 맡기며 사울 왕을 두 번 살려준다(24, 26장).
* 결국 사울 왕이 세 아들과 함께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전사하고 그의 남은 아들이 신하에게 살해당하면서 그의 환난은 끝난다.
"여호와께서도...말씀하시기를 네가 내 백성 이스라엘의 목자가 되며(v2)"
2. 이스라엘의 목자가 되다.
* 원래 목동이었던 다윗(삼상16:11,19)을 하나님은 마침내 모든 환난에서 구하셔서 그의 백성을 돌보는 목자가 되게 하신다.
"...이에 이스라엘 모든 장로가...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 왕으로 삼으니라(v3)"
3. 이스라엘의 주권자, 왕이 되다.
* 하나님은 다윗과 함께 하셔서 약속대로 이스라엘 12지파의 왕이 되게 하신다(삼하5:10-12).
"다윗이 나이가 삼십 세에 왕위에 올라 사십 년 동안 다스렸으되(v4)"
4. 40년간 다스리다.
* 다윗은 30세에 왕위에 올라 ( )년간 다스린다.
1. 고난 뒤에 온 승리
* 다윗의 자손으로 이 땅에 오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공생애도 온갖 배척, 시기, 위협 속에 진행된다.
* 구약과 시편의 예언대로, 결국 유대 지도자들의 공모, 제자들의 배신, 빌라도의 정치적 타협 속에 온갖 모욕과 채찍질을 당하고 십자가에 못 박혀 죽임을 당하신다(눅24:25-27, 44).
* 그러나 하나님은 그를 사망의 고통에서 풀어 살리신다(행2:24).
2. 목자(the Good Shepherd)이 되시다.
* 예수님은 죄 중에 헤매는 양인 우리를 "찾아내기까지" 추격하며 찾아오신(눅15:3-7) ‘선한 목자’시다(요10:11).
3. 만왕의 왕(the King of kings)이 되시다.
* 다윗을 이스라엘 왕으로 삼으신 하나님은 세상에 보내신 그의 아들을 만왕의 왕으로 세우셨다(딤전6:15, 계17:14, 19:16).
4. 영원히 다스리신다.
* 다윗처럼 예수님도 30세쯤에 공생애를 시작하셨다(눅3:23).
*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와 통치는 ( )하다(시145:13, 사9:6-7, 52:7, 단2:44, 4:3, 눅1:32-33, 계11:15).